Sitemap

Academic Event

[HK 워크숍] 7월 19일

2010.07.29 2772

 

 

 

 

 [7월 HK 워크숍]

 

 

 

1. 일시: 2010년 7월 19일(월). 오후  4

 

2. 장소: 아세아문제 연구소 3층 대회의실

 

3. 내용

 

 

 

 발표1 : 연해주 한인사회를 통해 러시아 다문화정책의 성격 분석(발표 김인성/ 토론 황정미)

 

 



    • 집필 목적: 2분과 2011년 출간 예정 단행본(동북아시아의 다문화주의 관련)의 한 챕터로 구상중임

 

    • 진행 상황: 관련 자료 수집 및 검토



 

 

             1) 러시아 법률자료: 헌법, 시민법, 이민과정규제개념, 외국인의 지위에 관한 법률, 민족 언

 

             에 관한 법, 문화에 대한 법률적 기본원칙, 피억압민족의 복권에 관한 법, 민족문화 자치단체

 

             에 관한 법, 교육에 관한 법, 사회단체에 관한 법, 극단주의적 행위 금지법 등 

 

 

 

             2) 연해주 관련 기초자료: 한국어 교육 실태, 난민 및 무국적 한인 문제, 한인들의 재이주와

 

             정착 관련 실태, 한인 민족문화 자치단체 설립 현황 및 활동 등. (2000년대 초반 이후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황임)  

 

             

 

             3) 다문화주의관련 이론: 다문화주의, 문화권 등에 대한 이론 (보충할 필요 있음)

 

 



    •  논문의 주요 쟁점



                                                                                                                             

 

1) 러시아에 다문화 정책이 존재하는가? 

 

2) 러시아정부는 개별 민족의 문화권(cultural right) 보장을 위해 어떠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가? (연해주 한인을 사례로) 

 

3) 러시아정부의 문화권 보장 정책의 성격 분석

 

4) 연해주 한인의 문화권과 관련한 문제점 대안 검토

 

 

 

 발표2 : 中日戰爭 시기(1937~1945) 중국의 대외무역과 경제 네트워크의 변화 (발표 박정현/토론 김현성)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동북아 초국가적 공간의 제도적 재구성이라는 주제 아래 진행되는 2년차 연구인 ‘일본 식민 지배를 통해 형성된 초국가적 동북아 질서의 전개과정’이라는 주제 아래 중일전쟁 시기(1937~1945) 중국의 대외무역과 경제 네트워크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초국가주의 접근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재화와 인간의 이동과 순환이다. 연구는 중일전쟁 시기 일본의 중국 화북, 화중, 화남 점령 이후 나타난 대외무역의 변화와 경제 네트워크의 단절, 통합, 우회의 과정을 통해 초국가적 지배질서가 어떻게 재편 변화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이 실패한 원인을 경제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아울러 대동아공영권의 실체와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분석하고, 최근 논의가 활발하고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아시아 교역권론의 문제점을 비판하려고 한다.



 



    • 연구 방법 : 중일전쟁 시기 중국의 대외무역 연구에서 가장 큰 난점은 통계자료의 문제이다. 대외무역에 관한 통계자료는 아직 제대로 정리되지 않아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더 큰 문제는 통계수치의 부정확성과 불일치이다. 가장 방대하고 정확한 통계자료인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