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ARI Humanities and Liberal Arts Series

Total 5

  • [아연인문교양총서] 5. 대한제국을 위한 `변론`
    최정수 지음 아연출판부 출판일: 2020-10-30 판매가: 13,000 원
    아연 번역총서 5    대한제국을 위한 '변론': 호머B. 헐버트의 '신한국론'과 국제주의최정수 지음 | 아연출판부 | 2020월 10월 30일 | 판매가 13,000원  ​[책소개]오늘 한국은 극심한 사회분열을 겪고 있다. 만약 누군가가 오늘의 위기를 탈출할 조언자를 한 사람을 천거하라고 하면 나는 주저 없이 헐버트에게 달려갈 것이다. 그는 지금부터 115년 전 한국이 패망의 길로 들어선 시점부터 독립을 되찾을 때 까지 한국과 한국인을 위해 헌신한 미국인이다. 우리는 그를 기억해야 할 5가지 이유를 갖고 있다. 첫째, 그는 한국인에게 20세기에 적합한 국가 설계도를 제시했다. 그것은 한국인이 일찍이 가보지 못한 길이었다.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사회(Square Deal), 정의가 승리하는 사회 만들기는 헐버트의 ‘구한국청산과 신한국 건설론’의 핵심개념이기 때문이다. 오늘 한국은 ‘한 번도 보지 못한 국가 건설’을 추진 중이다. 그렇다면 참고해야 하지 않을까. 둘째, 그는 한국사를 만들어 준 인물이다. 그리고 역사가 무형의 국가임도 알려주었다. 신채호의 표현을 빌리자면 ‘형식상의 국가’를 빼앗겼을지라도 ‘정신상의 국가’를 간직하면 국가를 되찾을 수 있다는 점을 깨우쳐 주려고 했다. 셋째, 그는 한국인에게 ‘국제주의’를 안내한 인물이다. 그리고 국제주의를 국가 철학의 필수적인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가르쳐주려고 했다. 즉 한국의 국가 건설은 민족공동체이자, 세계공동체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길을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그는 일본의 실체를 역사를 통해 밝혔다. 일본의 근대화는 법치주의를 결여했으며, 그것이 결국 세계인들의 재앙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헐버트는 일본판 성전(Jihad)의 실체를 일본 역사를 통해 밝혔다. 다섯째, 그는 한국문제를 미국외교의 아킬레스건으로 만드는데 공헌했다. 루즈벨트의 대한정책을 미국 헌법 위반이라는 관점에서 비판했기 때문이다. 그의 분석은 국제법이 한국을 구원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보여준다.​   [저자소개]최정수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한양대, 서울교대 등에서 강의해 왔다. “Theodore Roosevelt의 세계정책”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특히 시어도어 루즈벨트의 대한정책을 20세기 전반기 미국의 거대전략과 관련지어, 그의 전략이 군사력뿐만 아니라 국제법을 근간으로 수립되었다는 점에 주목한 연구를 해 왔다. 현재는 미국의 혁신주의 전략가들인 시어도어 루즈벨트, 알프레드 T. 마한, 헨리 C. 로지 등의 역사 인식을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미국의 미래를 역사 속에 새겨 넣으려 한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헐버트 연구 또한 그 연장선에서 이루어졌다. 주요 논문으로는 , , 등이 있다. [목차]서론  제1부 헐버트의 역사 전쟁 제1장 한국사는 중국사의 일부가 아니다. 제2장 한국사 쓰기는 20세기 역사 논쟁의 일부다. 제3장 Square Deal 역사관:한국인이 쓴 한국사를 심판하라. 제4장 3시대 구분법:‘한국 민족 공동체의 역사’가 존재함을 입증하라. 제5장 역사철학:‘신한국사’를 쓰게 하라. 제6장 국제주의:한미일의 국제관계사를 써라.   제2부 헐버트의 국제법투쟁 제1장 대원군의 쇄국정책은 한국인의 DNA인가. 제2장 구한국(Old Korea)은 왜 망했는가. 제3장 법치개혁의 신한국(New Korea) 건설은 가능한가. 제4장 일본은 한국을 지배할 능력/자격이 있는가. 제5장 왜 미국이 한국 개혁의 새로운 후원자가 되어야 할까. 제6장 왜 미국은 한국을 위해 미일전쟁을 각오해야 할까. 제7장 한국을 포함시킬 수 있는 세계공동체는 무엇인가.   제3부 역사의 심판 제1장 루즈벨트의 거중조정 거부는 한미조약 위반이다. 제2장 태프트-가쓰라협정은 한국에 대한 배신이었다. 제3장 고종의 국제법 투쟁은 사대주의적 발상으로 볼 수 없다. 제4장 을사협약은 국제법상 강박에 의한 무효이다. 제5장. 헐버트의 역사 법정은 동경전범재판을 예고했다.   결론 참고문헌​
    2020.11.05 Views 2177
  • [인문교양총서] 4. 조선 문화에 관한 제국의 시선: 세키노 타다시의 연구 중심으로
    류시현 지음 출판일: 2019-06-03 판매가: 13,000 원
    아연인문교양총서 4 조선 문화에 관한 제국의 시선: 세키노 타다시의 연구 중심으로 류시현 지음| 아연 출판부 | 2019년 6월 3일 | 판매가 : 13,000원     한말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 문화를 연구한 일본인 학자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 세키노 타다시(関野貞:1867~1935)였다. 그는 일본 토교제국대학을 졸업하고, '건축사학자'로서 같은 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세키노는 동양과 일본의 예술품에 관한 조사, 연구와 함께 조선의 유물과 유적을 '근대적' 방법론에 입각해서 조사 활동을 수행하고 『조선고적도보』,  『조선미술사』 등의 저서와 관련 논문을 집필했다.  '조선 미술'에 관한 연구는 공동체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작업의 일환이 된다. 한국학 연구 등으로 대표되는 정체성 연구는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세계에 유례가 없다는 '유일성'과 독자적이었다는 '독창성' 주장을 앞세워서는 설득력을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에 관한 '타자'의 시선을 살펴보아야 한다.  특히 세키노는 식민지 조선 사회에 제국 일본에 의해 가능했던 학문적 '권위'와 영향력이 존재했다. 따라서 그에 관한 구체적인 접근은 결국 식민지 조선인에 의한 1920년대 조선학 연구, 1930년대 '조선학 운동'에서도 과제로 제기되었던 물음은 물론 오늘날의 '한국학'의 계보 연구와 연결된다고 생각한다.      저자 소개   류시현 광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한국근현대사 전공. '한국적인 것'의 사상적 계보와 근대 사상의 수용과 관련된 번역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과 발전』(선인, 2017), 『동경삼재』(산처럼, 2016), 『최남선 평전』(한겨레출판, 2011) 등이 있다.       목차   를 기획하며 6 책을 펴내며 9   1장 학문수련과정과 한말 한국의 고건축 조사 13출생과 근대적 학문 수련 131902년 한국의 고건축·고적 조사 221909년 한국의 유물·유적 조사 32   2장 1910~20년대 조선의 예술과 만나다 421910년대 전반기 조선 유적과 유물 조사 421910년대 후반기 조선 미술에 관한 정리 541920년대 조선 예술에 대한 체계화 63조선 미술사를 위한 조선 역사 구상 67   3장 조선 미술사 서술과 한국사 인식 74상대 인식 74삼국시대 인식 90통일신라 시대 인식 101고려 시대 인식 104조선 시대 인식 106   4장 『조선고적도보』와 조선예술품 인식 118고구려 벽화 인식 118조선 탑 양식 논의 139불국사와 석굴암 인식 145고려청자와 조선백자 인식 153   5장 조선학과 동양학의 경쟁 1631930년대 조선 미술에 관한 인식 163‘조선학’과 ‘동양학’의 경계 178   |참고문헌| 203  
    2019.06.25 Views 1908
  • [인문교양총서] 3. 자유와 평화를 꿈꾼 `한반도인` 이소가야 스에지
    변은진 지음 출판일: 2018-12-19 판매가: 15,000 원
      아연인문교양총서 3 자유와 평화를 꿈꾼 '한반도인' 이소가야 스에지 변은진 지음| 아연 출판부 | 2018년 12월 19일 | 판매가 : 15,000원     조선의 독립과 한반도의 민주화-통일을 기원한 '비국민', 일본인 노동자의 삶과 글    1947년 1월 초에 19년 만에 다시 일본 땅을 밟은 이소가야 스에지는 이후 도쿄에 거주하면서, 소학교 출신이라는 학력이 무색할 정도로 활발히 문필활동을 펼쳤다. 일본사회의 최하위층에서 어렵게 생활하면서도 철저하게 휴머니즘에 기초하여 식민지배와 한반도 분단의 원초적 책임이 있는 일본 정부를 비판하고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를 기원하는 방향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북쪽에 남은 동지들이 새로운 조국 건설에 매진하고 있으리라는 믿음으로 이렇게 일본에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했으나, 6.25전쟁과 뒤이은 숙청 과정을 거쳐 강화된 '김일성 왕조'에 큰 배신감을 느끼게 된다. 결국 1980년대 후반 무렵부터는 '북한의 인권 및 민주화 문제'에 관심을 갖고 관련된 사회활동에 참여했으며, 문필활동의 방향도 이쪽으로 선회하였다. 물론 일본 정부가 져야 할 식민지책임과 전쟁책임을 비판하고 한 반도의 통일과 민주화를 바라는 마음은 여전히 굳게 간직한 채로였다. 이러한 그의 삶의 궤적은 한국근현대사를 이해해보는 관점에서도 새롭게 조명해볼 만한 가치가 크다고 생각한다.      저자 소개   변은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교수. 한국근현대역사 전공. 주요 저서로 『일제말 항일비밀결사운동 연구- 독립과 해방, 건국을 향한 조선민중의 노력』(선인, 2018), 『인물로 본 문화』(공저, 2015,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선인, 2013), 『제국주의시기 식민지인의 '정치참여' 비교』(공저, 선인, 2007),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공저, 선인, 2004), 『통계로 본 한국근현대사』(공저, 아연출판부, 2004) 등이 있다.       목차   를 기획하며 6 책을 펴내며 9   1장 출생과 방황 12 다리지기의 아들로 태어나다 12도쿄 생활과 관동대지진 18방랑과 입대, 조선으로! 23나남 19사단 소속 ‘황군’이 되다 30   2장 식민지 조선에 바친 청춘 36 짓밟힌 과수원의 꿈, 1930년대 조선상황의 변화 36흥남공장 노동자로 다시 태어난 삶 49노동자 조직운동에 참여하다 61검거와 투옥 84철창에 얽힌 인연들 106식민지 감옥에서 경험한 전쟁과 인간 121   3장 일제패망과 조선해방, 그리고 귀환 138 마침내 출옥, 해방전야와 8.15 13838도선 이북의 상황 변화와 이소가야의 역할 150소통과 중재의 달인으로 거듭나다 169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최후의 노력 193인양선에 오르다, 19년만의 귀국 216   4장 좋은 날이여, 오라 227 일본에서의 생활과 문필활동 227평생의 반려자 스마코를 추모하며 254남다른 인식의 히키아게샤로 살아간 50년 세월 269   <이소가야 스에지 연보> 284<참고문헌> 286
    2019.06.25 Views 1198
  • [인문교양총서] 2. 이주와 유통으로 본 근대 동아시아 경제사: 동순태호 담걸생 이야기
    강진아 지음 출판일: 2018-02-26 판매가: 20,000 원
    아연인문교양총서 2 이주와 유통으로 본 근대 동아시아 경제사: 동순태호 담걸생 이야기 강진아 지음| 아연 출판부 | 2018년 2월 26일 | 판매가 : 20,000원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조선 최대의 갑부로 손꼽혔던 화교 거상 동순태호 담걸생의 일대기를 따라서, 개항 이후 근대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상인과 노동자의 이주 및 무역의 역사를 대중적인 글쓰기로 풀어서 쓴 책이다. 담걸생이란 사람은 개항기에 조선으로 건너와 무역상점 “동순태호”를 경영하며 일제 강점기까지 서울 장안에 손꼽히는 백만장자로 거듭났다. 그런데 그는 일반적인 한국 화교인 산동성(산둥성) 사람이 아니라 중국 최남단 광동성(광둥성) 사람이다. 그는 어떻게 조선으로 건너와 부를 쌓게 되었을까? 그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19세기 초 중국 광동성(광주/광저우)을 허브로 형성된 구미와 동아시아의 글로벌 무역경제가 아편전쟁 이후 불평등조약체제와 개항장 시스템의 성립으로 재편되면서, 광동 화교상인들이 동아시아 전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이후 상인, 노동자, 상품의 이동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새로운 시대가 동아시아에 열린다.   중국경제사 전공자인 저자는 담걸생의 일대기를 씨실로 남아 한국 화교와 근대 동아시아 교역의 변화무쌍한 역사를 그려내고 있다.   19세기 교통혁명과 개항 이래 국경을 뛰어넘는 이주와 유통의 네트워크가 어떻게 사람들의 삶을 바꾸었는가. 상해 와이탄을 지배한 구미 상인과 그들의 파트너 광동 상인, 조선을 디자인하려 한 중국의 양무파 관료와 야심 찬 매판 자본가들, 노동시장에서 조선인과 피말리는 경쟁을 펼친 중국인 노동자, 동아시아 경제패권을 노리는 일본 정부와 자본의 역할을 골고루 다루고 있다. 또한 이처럼 거대한 인적, 물적 이주의 격변기에 유례없이 해외로 나간 일본인 디아스포라, 한인 디아스포라, 화교 디아스포라의 역사도 글로벌 현상의 한 축으로 다루고 있다.   본문에서는 동순태호 담걸생의 일생과 가족사, 경영사를 다루면서, 이주와 유통으로 보는 근대 동아시아경제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할 주제는 29개의 “테마”라는 형식으로 따로 두어 심도 있게 정리했다. 더 알고 싶은 사항만 테마를 통해 살펴볼 수도 있고, 테마에서는 관련 연구자와 연구 성과, 또 해당 분야의 핵심적인 사료를 소개하여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학술적으로 심화된 독서를 찾아서 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대신에 본문은 한 기업과 개인의 흥망성쇠에 집중하여 읽을 수도 있도록 가능한 주석 없이 스토리텔링에 주력하였다. 좁게는 1850년대부터 1940년대에 이르는 100년 간, 넓게는 19세기 초에서 21세기 초까지 200년에 걸친 근대 동아시아의 이주와 유통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저자 소개   강진아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중국 근현대사, 동아시아 경제사 전공. 저서로 『동순태호: 동아시아 화교 자본과 근대 조선』(경북대출판부, 2011), 『문명제국에서 국민국가로』(창비, 2009), 『1930년대 중국의 중앙・지방・상인』(서울대출판부, 2005), 역서로 『중국경제사』(경북대출판부,2016), 『다시 보는 동아시아 근대사』(까치, 2011), 『베이징의 애덤 스미스』(길, 2009), 『미완의 기획: 조선의 독립』(소와당, 2009), 『소일본주의』(소화, 2002) 등이 있다.       목차   를 기획하며 6 책을 펴내며 9   1장 부유한 이단의 땅: 광동 14 테마1 매판(買辦) 40 테마2 기선 발전사 속의 동아시아 42 테마3 여권과 출입국 관리의 역사 44   2장 성공의 첫 사다리에 발을 디디다: 상해 시절 47 테마4 개항 이전 한반도에 왔던 중국 이주민 82 테마5 일본 제국의 팽창과 동아시아의 인구 이동 83   3장 조선으로 향하는 길: 양륜경의 조선 투자와 조선의 광동인들 86 테마6 조공 사절 숙소로 본 조선의 특수 지위 109 테마7 최초의 중국 관비유학생과 조선 110 테마8 조선이 청에 설치한 상주 외교기관 115   4장 조선에서 우뚝 서다: 개항 초기 조선과 동순태호 118 테마9 조선 개항장의 화폐들 154 테마10 중국의 주한 외교 공관의 역사 159 테마11 한중 간 어업 분쟁과 밀무역의 역사 162   5장 전화(戰火) 속으로: 청일전쟁 시기의 담걸생 164 테마12 동아시아인의 멸칭 197 테마13 국적이란 무엇인가 199 테마14 일본 제국의 국적법과 시민권 200 테마15 20세기 초 재만 한인의 국적 문제 202 6장 구조조정의 시대: 일본 식민지 조선에서 살아남기 204 테마16 한인 디아스포라: 일본으로의 이동 250 테마17 한인의 만주 이주와 간도 문제 251 테마18 한인 밀항의 역사 254   7장 장안 제일의 부자가 된 담걸생 257 테마19 서울 화교 상인 단체의 역사 288 테마20 중국인 노동자가 시장에서 선호된 이유 290   8장 실의 속에 눈을 감다 293 테마21 근대 일본인의 해외 이주 332 테마22 동아시아인의 하와이 이주 335 테마23 하와이 사회 속의 동아시아 민족주의 337   9장 조선이여 안녕! : 동순태호의 철수 341 테마24 근대 재한 화교 연구를 위한 문서 자료와 소장처 359 테마25 동순태문서는 어떻게 서울대로 갔을까? 363   10장 남은 이야기들 367 테마26 근대 동아시아 이주민 디아스포라 속의 제주도 386 테마27 20세기 동남아시아의 화교 학살 388   11장 동아시아 이민사 속의 재한 화교 392 테마28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주민 구성 409 테마29 전후의 이중 국적 문제와 화교 411
    2018.03.07 Views 1238
  • [인문교양총서] 1. 조선의 미를 찾다
    정병호.엄인경 지음 출판일: 2018-02-26 판매가: 13,000 원
    아연인문교양총서 1 조선의 미를 찾다 정병호, 엄인경 지음| 아연 출판부 | 2018년 2월 26일 | 판매가 : 13,000원     이 책은 일제강점기 한반도에 거주하면서 조선의 미술공예, 특히 조선백자의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고 한반도 전역 700여 개 이상의 가마터를 직접 조사해 얻은 성과를 국내외에 널리 알린 아사카와 노리타카(淺川伯敎, 1884-1964)의 일대기를 담은 글이다. 아사카와 노리타카는 일제강점기에 노리타카의 동생, 아사카와 다쿠미(淺川巧, 1891-1931),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와 더불어 조선 전통문화와 미술공예를 연구하고 그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는 데 의기투합하였다. 이들은 일제의 조선 문화재 훼손을 적극적으로 저지했으며 사라지려고 하는 조선 문화의 보전을 위해 조선민족미술관을 개설하는 데 함께 동분서주하였다. 이 당시 일본 지식인들은 조선 문화가 열등하고 독창적 가치가 없다고 조선의 미술공예를 여전히 폄훼하던 시절이었지만, 이들은 1920년대 조선 도자기 붐을 가져오는 데 원동력이 될 정도로 활발한 연구와 홍보활동을 거듭했다. 이들 중 다쿠미는 일제강점기 조선어를 사용하며 조선인들 속에서 살다가 망우리 공동묘지에 묻히게 된 일화와 더불어 다카사키 소지(高崎宗司)의 활발한 연구, 논픽션 소설이나 한일공동제작 영화를 통해서 가장 많이 알려진 인물이다. 야나기 무네요시도 도쿄대 철학과 출신으로 일본 내에서도 주류 엘리트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 미술공예에서 힌트를 얻어 전개한 민예(民藝)운동의 기수로서 일본 내외에서 오랫동안 다양한 조명을 받아왔다. 그러나 아사카와 노리타카가 조선 미술공예를 연구하고 이를 세상에 알린 공적은 이들 두 사람에 비해 결코 가볍지 않다. 오히려 야나기 무네요시와 동생 다쿠미를 매개하여 조선과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조선 도자기 담론을 일으킨 인물이라는 점, 당시 세간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조선시대 도자기의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1920년대 조선 도자기 붐을 일어나게 했다는 점, 한반도 내에서도 조선의 미술공예를 매개로 당시 재조일본인 문화인들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다는 점, 조선 도자기 연구뿐만 아니라 화가‧조각가‧도예가로서 조선인과 조선 문화를 제재로 한 수많은 작품을 남기고, 아울러 일본 전통시가 가인으로서 조선 미술공예를 통해 조선의 미를 적극 구가하였다는 점, 일본 패전 이후에도 일본으로 돌아가지 않고 1946년 가을까지 한국에 남아 조선 미술공예품을 한국의 국립민족박물관에 안전하게 이관하였다는 점 등 일일이 열거하기에도 부족할 정도로 조선전통문화와 관련하여 선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책의 필자들은 일제강점기의 엄중한 현실과 조선 문화의 의도적 폄하를 뛰어넘어 아사카와 노리타카가 조선 문화의 연구와 발굴, 보전, 나아가 그 예술적 가치를 널리 알리는 데에 이렇게 지대한 공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를 대상으로 한 책을 구상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라는 엄중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조선 문화에 대한 애정어린 연구와 조선 문화를 지키고 보전하려는 노리타카의 노력을 통해 조선 문화에 대한 한일 상호 이해가 주는 긍정적 효과와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기를 희망하는 바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이 현재도 지속되고 있는 한국과 일본 사이의 갈등을 뛰어넘어 일제강점기 노리타카가 남긴 업적과 교훈을 되짚어 보는 하나의 시금석이 되었으면 한다.   정 병호(鄭炳浩) 고려대 일어일문학과 교수, 일본근현대문학․한일비교문화론 전공 주요 저서로는 『동아시아의 일본어잡지 유통과 식민지문학』(공저, 역락, 2014), 『제국의 이동과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들』(공저, 도서출판 문, 2010), 『실용주의 문화사조와 일본 근대문예론의 탄생』(보고사, 2003), 주요 역서로는 『강 동쪽의 기담』(문학동네, 2014), 『요코․아내와의 칩거』(창비, 2013), 『소설신수』(고려대 출판부, 2007) 등이 있다.   엄인경(嚴仁卿)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부교수. 일본 고전문학, 식민지 일본어 시가문학 전공. 저서로 『문학잡지 國民詩歌와 한반도의 일본어 시가문학』(역락, 2015), 『재조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문화 1』(역락, 2014),『일본 중세 은자문학과 사상』(역사공간, 2013), 역서로 『시가로 읽는 간토(關東)대지진』(역락,2017), 『한 줌의 모래』(필요한책, 2017), 『단카(短歌)로 보는 경성 풍경』(역락, 2016), 『몽중문답』(학고방, 2013) 등이 있다.     이 책은 모두 일곱 개의 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아사카와 형제의 성장 배경과 당시 식민지 열기 속에 한반도로 건너온 일본인들의 군상 속에서 노리타카가 한일해협을 건너 한반도로 건너온 이유를 조선 미술공예에 대한 열정에서 찾아보았다. 2장은 일본 근대국민국가 형성기 이후에 조선과 조선 문화를 의도적으로 폄훼하고 열등시하는 분위기 속에서 아사카와 형제가 조선의 미술공예를 중심으로 조선 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발견해 가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3장은 이들의 활동을 조선 전통예술 최초의 ‘한류’라는 관점에서 포착하여 아사카와 형제와 야나기 무네요시의 활동을 재검토하였다. 4장은 노리타카가 구체적으로 조선 도자기에서 어떻게 조선의 미를 발견하였는지를 그의 미술공예 연구와 그가 남긴 그림 속에서 파악해 보았다. 5장은 야나기 무네요시의 광화문 철거에 대한 항의를 포함해 노리타카가 조선 건축물과 조선 예술을 어떤 식으로 옹호했고 조선 문화를 지키려 했는지 살펴보았다. 6장은 1920, 30년대 한반도의 일본 전통시가 가인들이 조선의 미술공예나 도자기를 대상으로 노래하거나 그들의 작품집 표지에 조선 도자기를 그리곤 했는데 이러한 현상의 중심에 노리타카가 있었음을 논증하였다. 7장은 일본 패전 이후 곧바로 일본으로 귀국하지 않고 조선의 미술공예를 새롭게 만들어진 국립민족박물관에 안전하게 이관하고 돌아간 노리타카의 전후 행적과 그의 사후 사람들이 그들 어떻게 추모하고 기억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장 한일해협을 건너는 일본인들의 군상과 노리타카의 조선행 아사카와 노리타카·다쿠미 형제의 성장 배경 일본인의 식민지 열기와 한반도 이주 아사카와 노리타카의 한반도 행   2장 근대일본의 조선 문화 인식과 아사카와 노리타카 근대국민국가의 형성과 조선 인식 근대일본의 조선 문화 인식 아사카와 노리타카·다쿠미 형제의 조선 문화 인식의 의의   3장 일제강점기 조선 전통예술 최초의 ‘한류’ 붐 2000년대 한류의 등장과 한국 문화 야나기 무네요시와 조선 도자기의 재인식 조선백자의 재인식과 한류라는 창   4장 도자기에서 조선의 미를 발견하다 근대 조선 예술의 범위 미술가로서의 노리타카와 도자기 그림 백자, 조선의 미와 예술의 상징   5장 조선의 문화 유적을 지키다 조선 건축물 옹호론 조선 자연 옹호론 노리타카의 조선 음악 옹호론   6장 일본의 전통시가로 조선을 노래하다 일본 전통시가와 도자기 전통시가 서적의 장정과 도자기 노리타카의 단카와 조선의 미   7장 아사카와 노리타카를 기억하다 조선 미술공예의 국립민족박물관 이관 전후 아사카와 노리타카의 활동과 추모 아사카와 형제의 기억   부록 아사카와 노리타카 연보
    2018.03.07 Views 1437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