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 제도분과 워크숍] 2011년 2월 21일
2011.03.03 36942
제도분과 워크숍
일시 : 2011년 2월 21일(월) 4:00~6:00
장소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층 회의실
4:00~4:40
박정현 - 근대조약체제 이후 개항장에서 조선인과 중국인의 갈등과 해결방식
송규진 - 일제 하 鮮滿一如論과 鮮滿 관계
김현성 - 전후 일본의 동아시아경제공동체 구상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
정인교 - 한․중․일 경제통합(혹은 FTA)의 역사성
4:50~5:00 휴식
5:00~5:10 이정남 - 북·중동맹과 동북아 평화의 제도화
5:10~5:20 윤태룡 - 냉전기 동북아의 동학 : 닉슨 독트린 직후 한·일·미 관계의 분석 (1969~1971)
5:20~5:30 변영학 - 1945년 이후 동북아 각국 금융레짐의 특성
5:40~5:50 조철호 - 한국의 초국가적 공간과 한미동맹 :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개정을 중심으로
제도 분과 총서 발간 계획
<근대 동북아 지역질서의 형성>(가제) 단행본
총편집 : 이내영, 이신화
Ⅰ. 총론 (이신화)
Ⅱ. 동북아 근대 질서의 형성과 변화
1) 근대조약체제 이후 개항장에서 조선인과 중국인의 갈등과 해결방식(박정현)
2) 일제 하 鮮滿一如論과 鮮滿 관계(송규진)
3) 대동아공영권 구상에서의 ‘지역’과 ‘세계’(임성모)
4) 소결
Ⅲ. 동북아 경제관계의 형성과 변화
1) 전후 일본의 동아시아경제공동체 구상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김현성)
2) 한·중·일 경제 통합의 역사성(정인교)
3) 1945년 이후 동북아 각국 금융레짐의 특성(변영학)
4) 소결
Ⅳ. 동북아 냉전체제의 동학과 지역질서
1) 동북아시아 초국가적 정체성과 질서 (길버트 로즈만)
2) 냉전기 동서대립과 동북아 평화: 냉전시기 남북미 삼각관계 - 선순환과 악순환(김연철)
3) 북·중동맹과 동북아 평화의 제도화(이정남)
4) 한국의 초국가적 공간과 한미동맹 :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개정을 중심으로(조철호)
5) 소결
총서 발간 일정
- 2월 말까지 초고 제출
- 5월 말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