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Academic Event

Development process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nd outlook

2011.04.26 29118

주제: 북중 경제관계의 전개과정과 전망 

 

연사: Piao, Jianyi (중국 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장 보 겸 지역안보연구센터 부센터장)

 

시간과 장소: 4월 11일 오후 4-6시, 아세아문제연구소 3층 대회의실

 

 

 

<발표 내용>

 

북중 경제관계의 전개과정과 전망 

 

                          Piao, Jianyi (중국 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장 보 겸 지역안보연구센터 부센터장)

 

 

 

I. 북-중 경제협력관계의 형성과 발전

 

 1. 북-중 경제협력관계의 기초

 

 2. 북-중 경제협력관계의 확립

 

 3. 북-중 경제협력관계의 발전

 

II. 냉전후 북-중 경제협력관계의 조정

 

III. 북-중 경제협력관계의 현황과 구조의 특성

 

 

 

이번의 발표는은 북-중 경제협력관계의 형성과 발전의 역사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냉전이후 북-중 경제협력관계에 대하여 연구 토론하며 북-중 경제협력의 현황과 구조적 특징에 대한 논하였다. 21세기 들어 부단히 심화되는 북-중 경제협력은 두 나라에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연사는 첫째, 북-중 경제협력의 형성과 발전의 역사과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둘째, 냉전 이후 북-중 경제협력의 조정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마지막으로, 북-중 경제협력의 현황과 구조적 특징에 대하여 논하는 것으로 발표를 마무리 지었다.

 

 

 

<토론 내용>

 

발표장에서 가장 먼저 북-중 경제협력관계의 현황과 미래를 논하는 것에서 북한측의 통계 자료의 신뢰성과, 통계 자료를 산출해 내는 현실은 어떠한지에 대한 질문이 있었다. 이에 대해 북한측의 통계 자료에는 아직까지 정치적인 영향에 따라 신뢰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고 이것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정 보완되고 있다고 답하였다. 이외에도 북한과 중국의 정치적인 현황 및 이것이 경제에 미치는 방식에 대한 다양한 질문과 논의가 있었다.

 

 

 

 

 

 

 

file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