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Research Papers

세계경제공황 전후 ‘영제국경제회의’와 조선의 對 ‘영제국권’ 무역(송규진, HK 연구교수)

2010.08.20 Views 2005

 


논문제목 : 세계경제공황 전후 ‘영제국경제회의’와 조선의 對 ‘영제국권’ 무역


저자 : 송규진


출판사항:역사와 담론 제77호


 


<국문요약>


 


영제국은 영국과 식민지 간에 기본적으로 ‘특별관세정책’을 실시했다. 영국은 자유무역정책을 폈으나 식민지에서는 보호무역정책을 채택했다. 영제국의 각 식민지는 관세자주권을 가지고 있었는데 식민지간에는 대부분 ‘특혜적 관세정책’을 실시했다. 세계경제공황 이전까지 ‘영제국경제회의’에서는 특혜 세율 문제에 대해 영국과 각 식민지 당국이 지속적으로 협의했는데 입장차이가 있었다. 세계경제공황 이후, 1930년 10월 ‘영제국경제회의’가 런던에서 개최되었다. 이때 각 식민지에서 주장한 특혜관세규정에 대한 여러 제안은 영국과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1932년 7월 21일부터 1개월간 캐나다 오타와에서 ‘영제국경제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영국과 각 식민지 특혜조치가 더욱 강화되었다. 이후 세계 각국이 계속 관세율을 높이면서 ‘관세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영제국경제회의’를 통한 영국과 식민지 간의 특혜관세는 조선의 대 ‘영제국권’ 무역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는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완전 예속됨으로써 다른 식민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계경제와 괴리되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한국병합’ 이후 일본은 조선에서 ‘특별관세정책’을 실시했다. 그러나 1920년 ‘관세동화정책’을 실시하면서 조선무역에서 영국의 영향력은 더욱 보잘 것이 없게 되었다. 세계경제공황은 조선의 대 ‘영제국권’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일제는 세계경제공황을 타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극적인 수출진흥정책을 실시하여 어느 정도 결실을 거두었지만 중일전쟁 이후 조선무역은 엔블록 치중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되고 대 ‘영제국권’무역도 급감했다.


 


<주제어>


특별관세정책, 관세동화정책, 자유무역정책, 보호관세정책, 영제국경제회의, 세계경제공황.


 



 


‘British Empire Economic Conference’ and the Trade of Chosun with ‘British Empire Territory’ before and after the World Economy Crisis


 


Song Kue-jin


 


British Empire had established the ‘special tariff policy’ basically for the trade between Britain and its colonies. Although Britain stood for free trade policies, protective trade policies had adopted in its colonies. Each colony of British Empire had tariff autonomy and ‘preferential tariff policies’ had been in effect between most of its colonies. Before world economy crisis, Britain and its colonial governments had consulted on the issue of preferential tariff at the ‘British Empire Economic Conference’, which showed differences in positions. In September, 1930, after economy crisis, the ‘British Empire Economic Conference’ was held in London. At that time several proposals for the preferential tariff rule insisted by each colony were not agreed with Britain, too. The ‘British Empire Economic Conference’ had been held for one month since July 21st, 1932 in Ottawa, Canada. At that conference, preferential measurements between colonies were more reinforced. After then, as each nation raised its tariff continuously, ‘tariff war’ had followed fiercely. The preferential tariff between Britain and its colonies had affected rarely on the trade of Chosun with ‘British Empire Territory’. It could be translated that Chosun had separated from the world economy further than any other colonies due to the complete subordination as a colony of Japan. After annexation, Japan adopted ‘special tariff policies’ in Chosun. However, since the ‘tariff assimilation policy’ had been implemented in 1920, Britain’s influence over Chosun trade had been decreased rapidly. Under the world economy crisis, Japan enforced aggressive polices to promote export, which got some results. However,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trade of Chosun overly weighted toward the Yen block and the trade with ‘British Empire Territories’ declined sharply.



special tariff policy, tariff assimilation policy, free trade policy, protective trade policy, ‘British Empire Economic Conference’, world economy crisis.

file
Sitemap